전체 글 (30) 썸네일형 리스트형 중대재해처벌법 및 시행령 주요내용 1. 주요 정의 및 적용범위 “중대재해”란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를 말한다. “중대산업재해”란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산업재해 중 ①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 ② 동일한 사고로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2명 이상 발생 ③ 동일한 유해요인으로 급성중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업성질병자가 1년 이내 3명 이상 발생 -안전보건 확보의무 주체는? 중대재해처벌법에서는 “사업주 및 경영책임자등”에 안전 및 보건 확보의무를 부과한다. ▶사업주 : 자신의 사업을 영위하는 자, 타인의 노무를 제공받아 사업을 하는 자 ▶경영책임자등 : ① 사업을 대표하고 사업을 총괄하는 권한과 책임이 있는 사람 또는 이에 준하여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 ② 형식상 직위, 명칭에 관계없이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작업장2편> 제17조(비상구의 설치) ① 사업주는 별표 1에 규정된 위험물질을 제조·취급하는 작업장과 그 작업장이 있는 건축물에 제11조에 따른 출입 구외에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수 있는 비상구 1개 이상을 다음각 호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구조로 설치해야 한다. 다만, 작업장 바닥면의 가로 및 세로가 각 3미터 미만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1. 출입구와 같은 방향에 있지 아니하고, 출입구로부터 3미터이상 떨어져 있을 것 2. 작업장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비상구 또는 출입구까지의 수평거리가 50미터 이하가 되도록 할 것 3. 비상구의 너비는 0.75미터 이상으로 하고, 높이는 1.51.5미터 이상으로 할 것 4. 비상구의 문은 피난 방향으로 열리도록 하고, 실내에서 항상 열 수 있는 구조로 할 것 ② 사업주는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사업장1편> 제3조(전도의 방지) ① 사업주는 근로자가 작업장에서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등의 위험이 없도록 작업장 바닥 등을 안전하고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② 사업주는 제품, 자재, 부재(部材) 등이 넘어지지않도록 붙들어 지탱하게 하는 등 안전 조치를 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조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4조(작업장의 청결) 사업주는 근로자가 작업하는 장소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관리하여야· 하며, 폐기물은 정해진 장소에만 버려야 한다. 제4조의2(분진의 흩날림 방지) 사업주는 분진이 심하게 흩날리는 작업장에 대하 여물을 뿌리는 등 분진이 흩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제5조(오염된 바닥의 세척 등) ① 사업주는 인체에 해로운 물질, 부패하기 쉬.. 슬러지수집기 &약품정량펌프 유지관리 지침 슬러지수집기 유지관리 지침 1. 슬러지수집기 설비의 안전관리에 관한 주의 사항 본 슬러지수집기의 운전 및 분해 조립 유지보수에 관련된 사람은 반드시 이 운전 및 유지관리 지침서를 읽고 숙지하며 특히 안전에 유념하여 주기 바란다. 인적 또는 물적인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운전 관리시에 다음 주의 사항을 엄수하여 주기 바란다. 1.1 슬러지수집기 1) 슬러지수집기는 슬러지 제거 용도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2) 슬러지수집기를 오랫동안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취급 설명서 내에 제시되어 있는 정기 점검을 필히 실시하기 바란다. 오일 누수의 이상 유무, 각종 연결부위 이상 유무, 전동기 및 전기장치의 이상 유무, 외형의 이상 유무(모터, 감속기, 축, 스크래퍼 등), 정기적으로 샤프트 부위의 점검시 기계를 운전하.. 밸브 &부스터펌프 운영지침 1. 밸브 설치 전 점검항목 밸브의 각 부분들은 제작사에서 완전하게 점검하여 출하하지만 밸브 설치 전 다음의 항목을 점검한 후 설치하여야 한다. (1) 밸브와 개폐장치의 손상 여부 (2) 밸브 내부(유체 통과 부)에 이물질이 있는지 여부 (3) 밸브와 기어박스 연결부 등의 체결 볼트, 너트의 조임 여부 (4) 밸브와 연결 플랜지의 규격 일부 여부 (5) 밸브의 유체 흐름 방향 확인 (6) 전동식일 경우 전동 조작기의 전원과 현장 공급 전원의 일치 여부(7) 인디케이터(열림도계)의 지시 방향이 밸브 디스크와 일치 여부 2. 밸브 설치 후 점검사항 (1) 밸브의 유체 흐름 방향이 현장의 조건과 일치하는지 여부 (2) 밸브와 연결 플랜지의 체결 볼트, 너트의 조임 여부 (3) 전동식일 경우 전선 연결부가 전기.. 크레인 호이스트 유지관리 운반 및 조작 1) 일반 사항 (1) 제한 용량 이상의 물건을 들지 마라. (2) 안전장치를 반드시 사용해라(양정이 부족하다고 권양의 리미트 스위치를 임으로 변경해서는 안된다) (3) 시동, 운전, 정지시 충격을 피해라. (4) 물품을 닿아 올릴 때는 중심을 맞춰라. (5) 기중기 사용 안전수칙을 준수해라. 2) 운전 전 주의 사항 (1) 주행할 공간에 장애물이 있나 확인하고 제거 후 운전해라. (2) 기중기 조립 부분의 볼트, 너트, 키 등이 이완 여부를 확인하고 운전해라. (3) 브레이크 작동 상태 점검 (4) 와이어 상태 점검 3) 운전 중 주의사항 (1) 운전 중 이상 소음 및 과음 진동을 주시하고 이상 있을 시 즉시 작업을 중지하고 원인을 조사해라. (2) 물건의 중량을 항시 염두해 두고 작업에.. 펌프 운전 및 유지관리 지침서 1. 일반사항 1.1 안전규정 기기를 운반, 저장, 취급, 운전할 때에는 다음의 안전 지침에 따라야 한다. 다음의 경우에는 기기를 운전하지 말아야 한다. 1) 운전 매뉴얼을 꼼꼼히 모두 읽기 전 2) 점검, 부품 교체 및 수리 시3) 기기 설치 수조가 수리 중일 경우 4) 기기의 위치를 변경할 때 5) 기기의 파손되었거나 운전하면 파손될 것으로 의심될 때 6) 기기 프로펠러의 절반 이상이 수면 밖으로 노출되어 있을 때 기기의 디자인은 제조사의 허가 없이 변경하지 말아라. 기기 사용 환경의 변화나 교반 액체의 성상의 변화가 있을 시에는 제조사에 연락하자. 제공된 부품의 조립, 설치, 시운전 이전에 운전 지침서를 꼼꼼히 읽자. 안전과 사고 방지에 관한 모든 법규를 준수하자. 기기의 설치, 전원 연결, 유지 .. 펌프의 운전 및 유지관리지침서(전기부분) 결선상태 확인 방법 이 방법은 단성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전선에 기호가 미부착되었거나 색상(적색, 백색, 흑색)의 구별이 없을 때 현장에서 컨트롤 패널의 단자대에 결선 시 필수적이므로 숙지하기 바란다. 1) 결선 공급선(POWER LINE)의 결선상태 확인 ① 직입기동 (Soft Stert도 동일) 전원선 33개 중 어느 하나를 메가 테스터의 접지선에 연결시키고 나머지 두선의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0M옴이면 결선상태가 양호하며 1M옴 이상이면 단락 되었거나 내부 결선이 잘못되었으므로 운전을 해서는 안된다. ② 스타텔타 기동 전원선 66개 중 어느 하나를 메가 테스터의 접지선에 연결시키고 나머지 5선의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기호를 부착하여 확인하면 된다. 이때 측정한 절연저항은 상간 절연저항이며 0M옴 이.. 이전 1 2 3 4 다음